유저 모드2 [운영체제 8편] IPC란 무엇인가 안녕하세요! 개발자 배씨입니다~~ :) 저번 시간에는 인터럽트에 대해서 알아보았어요!! 오늘은 예전부터 언급했던 IPC 가 무엇인지 이제 배워볼게요 ㅎㅎ 지금껏 제가 설명드렸던 프로세스는 각자 독립적인 주소 공간을 가지고 수행되기 때문에 다른 프로세스와 정보를 주고 받을 수 있는 방법이 없다고 생각 하셨을거에요~ 멀티 스레드 환경에서는 서로 공유하는 공간이 있기 때문에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겠지만 프로세스는 독립된 구조인데 어떻게 자원을 공유할 수 있을까요? 그래서 똑똑한 조상이 운영체제가 프로세스 간의 협력 메커니즘을 제공해서 하나의 프로세스가 다른 프로세스의 수행에 영향을 미칠 수 있게 해줬답니다. 즉, 하나의 컴퓨터 안에서 실행 중인 서로 다른 프로세스 간에 발생하는 통신! IPC(Inter-P.. 남이 읽는 CS/운영체제 2022. 4. 13. [운영체제 6편] 유저모드 커널모드 저번 시간에 "데드락"에 대해서 배워봤었죠?? 그리고 "IPC"에 대한 존재가 있다고 했지만 그전에 배워야할 것들이 있다고 했어요~ 흐름에 따라 포스팅을 하는 것이 자연스럽고 깔끔하다고 느끼지만, 글을 쓰다가 아직 포스팅하지 않은 내용의 용어를 써야할 때는 조금 막막하더라구요. 그래서 고민하다가 데드락이 끝난 직후 바로 정리를 하는게 나을거 같더라구요~ 그래서 저번시간에 언급했던 IPC를 배우기전에 한번 거쳐서 가야할 부분이 있습니다. 유저모드와 커널모드 ,시스템 콜, 인터럽트 정도? 알고 가시는게 흐름 상 좋을거 같다는 생각입니다! 자 그렇다면 오늘은 무엇을 배울거냐???! "유저모드" 그리고 "커널모드"에 대해서 배워볼려고 합니다. 그게 뭐야..? 하실수 있을거에요 ㅎㅎ 저도 그랬거든요. 일단 한줄~.. 남이 읽는 CS/운영체제 2022. 4. 3.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