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이 읽는 CS20 [네트워크 4편] DNS와 로드 밸런싱 안녕하세요~ 개발자 배씨입니다!!😁😁 오늘은 "[네트워크 4편] DNS와 로드 밸런싱"에 대해서 포스팅을 해보려고 합니다 ㅎㅎ CS 스터디 마지막 블로그 포스팅이니까 열심히 적어보겠습니다~ DNS 일단 DNS가 무엇인지 개념부터 조금 알아볼게요! 여러분들은 웹 사이트에 접속할 때 해당 사이트의 IP 주소를 통해 접속하게 될 거에요 보통 IP 주소는 "225.235.63.221" 이런식으로 10진수 형태로 4 옥텟 규칙에 맞게 나타낸다고 말씀드렸던 거 기억 나시죠..? 기억 안 나시면.. 아래 링크를 통해 IP 주소 체계를 보고 와주세요 ㅎㅎ 아! 보고 오십니다~ 자 그다음에! [네트워크 2편] IP 주소 체계 안녕하세요!! 배씨입니다~ 😁😁 오늘 저희가 배울 주제는 꼭 알아야 하는 개념 중에 하나랍니다... 남이 읽는 CS/네트워크 2022. 9. 25. [네트워크 3편] TCP 와 UDP 안녕하세요! 개발자 배씨입니다 :) 오늘 포스팅 할 주제는 면접 단골 질문인 TCP와 UDP입니다!! 저번 포스팅에서는 3계층인 네트워크 계층의 IP 프로토콜에 대해 설명을 했었죠?? 오늘은 한 계층 더 올라와서 4계층인 전송계층에서 이루어지는 내용을 포스팅 할거에요 ㅎㅎ 오늘 다룰 주제인 TCP와 UDP는 4계층인 전송 계층에 해당하는 프로토콜이랍니다! 그러니까~ 전송 계층에서 사용하는 프로토콜이 TCP 와 UDP 가 있는데 이 두개의 차이점이라던지 특징 같은 것들은 면접 질문으로 많이 나온다고 하니까 자세히 다룰 예정이에요 ㅎㅎ 그렇다면 TCP 와 UDP 는 어떠한 차이점이 있고 어떠한 특징이 있을까요???? 궁금하시죠?? [네트워크 3편] TCP와 UDP 설명 시작하겠습니다! . . . 먼저, 4계.. 남이 읽는 CS/네트워크 2022. 9. 3. [네트워크 2편] IP 주소 체계 안녕하세요!! 배씨입니다~ 😁😁 오늘 저희가 배울 주제는 꼭 알아야 하는 개념 중에 하나랍니다. 글 구성을 간략하게 잡아봤는데 할 얘기가 너무 많아요...ㅠㅠ 암튼! 상당히 많은 내용을 포스팅 해야해서 지루할 수 있으니 예시를 많이 들어가면서 설명해드릴게요 :) . . . 저는 게임을 잘 안하는데 정말 가끔 하는 게임이 초2 때 처음 배웠던 스타크래프트거든요? 스타크래프트에 접속하면 위의 사진처럼 가장 먼저 보이는 것이 근거리 통신망 [LAN] 이라는 것이 있는데 같은 네트워크 대역에서 통신을 하는 거에요. 그러니까 같은 공유기를 사용하는 친형과 저는 부모님께서 잠든 시간에 몰래 LAN에 접속해서 게임을 자주 했었습니다ㅎㅎ 그러면 다른 네트워크를 사용하는 세상 사람들과 통신은 못하겠죠??? 위의 사진에서.. 남이 읽는 CS/네트워크 2022. 8. 22. [네트워크 1편] OSI 7계층 & TCP/IP 4계층 안녕하세요~ 배씨입니다!!!ㅎㅎ 최근 교육을 듣느라 CS 포스팅을 미루고 미루다가 같은 교육을 듣는 사람들과 CS 스터디를 개설하면서 다시 포스팅을 시작하려고 합니다~ 🎉 저는 이번 스터디에서 네트워크라는 과목을 선택했고 2주에 한번씩 포스팅을 진행하려고 합니다! 사실 네트워크 과목이 저한테 가장 큰 취약점이라고 생각을 했고 이번 기회에 많은 글과 참고 서적을 보면서 포스팅을 준비하려고 합니다~ 오늘 제가 다룰 주제는 "OSI 7계층과 TCP/IP 4계층" 에 대해서 살펴볼려고 해요!! 네트워크하면 가장 기본 중에 기본이라고 말을 할 수 있는 주제죠:) 자! 이제 설명 들어갑니다 일산에 사는 현동이라는 친구는 이렇게 멋진 차를 사고 드라이브를 하는 도중 타이어가 터졌다고 가정을 해봐요! 그러면 수리를 맡.. 남이 읽는 CS/네트워크 2022. 8. 7. [운영체제 - 질문정리 III] 유저모드 커널모드, 스케줄링, 인터럽트, IPC [유저모드 커널모드 - 질문 정리] Q. 여러 프로그램이 같은 자원에 대해 시스템 콜을 할 수 있을 거 같은데 이때 데드락이 발생할 수 있는건가요? 아니면 커널이 같은 자원에 대한 요청이 동시에 있으면 순차적으로 해결하는 등 따로 처리해주는건가요? 이 질문의 명확한 답변은 검색해도 나오지 않아서 제가 이해한대로 설명드릴려고 해요. 정확하지 않을 수 있으니, 참고 바랍니다! 유저모드에서 수행하고 있던 CPU는 시스템 콜이 일어나면 커널모드로 이양됩니다. 즉, 처리하던 프로세스를 내려놓고 관리실로 가는거죠. 그렇다면 다른 프로세스의 명령어를 수행할 수 없고 해당 인터럽트 관련 명령을 커널에서 진행되는거죠. 그렇다면 다른 시스템 콜에 대한 반응은 CPU가 커널에서 처리가 완료 된후 진행하던 프로세스 또는 다른.. 남이 읽는 CS 2022. 6. 28. [운영체제 - 질문정리 II] 뮤텍스&세마포어, 데드락 [뮤텍스&세마포어가 무엇인가 - 질문정리] Q. 두 방법의 차이점 중 동기화 대상의 개수말고 또 다른 차이점이 있나요? 1. 가장 큰 차이점은 동기화 대상의 갯수라고 생각을 하시면 돼요 Mutex는 동기화 대상이 only 1개일 때 사용 Semaphore는 동기화 대상이 1개 이상일 때 사용 세마포어는 뮤텍스가 될 수 있지만, 뮤텍스는 세마포어가 될 수 없다. Mutex는 0, 1로 이루어진 이진 상태를 가지므로 Binary Semaphore! 지만 카운팅 세마포어는 뮤텍스가 될수 있는거죠. Mutex는 소유하고 있는 스레드만이 이 Mutex를 해제할 수 있다. 반면, Semaphore는 A라는 스레드가 공유 자원을 사용함으로써 세마포어의 값을 감소시켰지만 다른 스레드 B가 공유자원을 사용이 끝나면 세마.. 남이 읽는 CS 2022. 6. 28. [운영체제 - 질문정리 I] 프로세스, 스레드 [프로세스란 무엇인가 - 질문정리] Q. stack pointer 레지스터는 어떤 정보를 저장하나요? stack은 LIFO 구조로 선입후출 방식인건 알고계시죠? 데이터가 들어올때마다 차곡차곡 쌓였다가 가장 늦게 들어온 놈이 순차적으로 빠져나가는 방식이잖아요? 예를 들어, “자료구조” 라는 책을 먼저 책상에 올리고 “운영체제” 라는 책을 한권 올리고 다음 “DB” 책을 올릴려고 하는데 stack pointer라는 놈이 “운영체제” 책의 표지부분을 가리키면서 여기 올리면 되겠네! 하는 거죠. 즉, stack pointer란 현재까지 할당한 메모리의 끝 주소를 기억하고 있다가 다음에 들어오는 데이터에게 여기서부터 메모리 쓰면 돼! 라고 알려주는 역할입니다. Q. PCB는 메모리에 어떤 형식으로 저장되나요? P.. 남이 읽는 CS 2022. 6. 15. [운영체제 12편] 페이징 세그먼테이션 (불연속 할당 방식) 안녕하세요! 개발자 배씨입니다~ 저번시간에는 연속할당이라는 것에 배워봤어요 ㅎㅎ 이번 시간에는 연속할당에 반대되는 불연속할당에 대해서 배워 보려고합니다!! 들어가봅시다 불연속 할당의 대표적인 예로는 페이징과 세그먼테이션 기법이 있습니다. 근데 조금 복잡해서 이해하기 힘드니까 천천히 잘 따라오세요 ㅎㅎ 일단! 가상메모리라는 것을 알고 있어야합니다. 가상메모리??? 들어보긴 했는데.. 뭐지? 하셨나요?? 예를 들어, 만약 프로그램 크기가 12GB 인거에요~ 엄청 크죠?? 근데 여러분들이 지금 노트북에 8GB 램(메모리)을 사용하고 있다고 쳐요. 여기서 12GB 프로그램을 실행시키기 위해서는 메모리에다가 할당시켜야 하는데 8GB 램에서 12GB 프로그램을 못담잖아요? 용량이 너무 큰거죠! 그러면 어떻게 해야할.. 남이 읽는 CS/운영체제 2022. 5. 27. [운영체제 11편] 메모리 할당 (연속할당 방식) 안녕하세요! 오늘은 [운영체제 11편] 메모리 할당I (연속할당 방식)에 대해서 배워보려고 합니다 !! 저번주 포스팅에서 제가 내부 단편화와 외부 단편화에 대해서 언급했습니다 ㅎㅎ 이 주제의 포스팅을 읽다보면 내부/외부 단편화가 무엇인지 확실히 이해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들어갑시다!! 제가 물리적 메모리는 두개의 영역으로 나뉜다고 했었던 거 기억나시나요?? 물리적 메모리(램)은 운영체제 영역과 사용자 프로세스 영역으로 나뉘게 됩니다. [운영체제 6편] 에서 언급을 했었습니다. 기억 안나시는 분들은 아래 링크 참고하세요! [운영체제 6편] 유저모드 커널모드 저번 시간에 "데드락"에 대해서 배워봤었죠?? 그리고 "IPC"에 대한 존재가 있다고 했지만 그전에 배워야할 것들이 있다고 했어요~ 흐름에 따라 포.. 남이 읽는 CS/운영체제 2022. 5. 11. [운영체제 10편] 메모리 접근 벌써 운영체제 10편을 할 차례가 되었네요~ 아직 갈 길은 멀지만 그래도 포스팅 하나를 완료하고 나면 나름 뿌듯하답니다~ 저번주에 정말 복잡한 스케줄러에 대해서 학습을 하셨으니 오늘은 조금 가볍고 직관적인 내용에 대해서 포스팅 할 예정입니다. 10편 기념으로 복잡한 주제는 잠깐 미룰게요. 사실 흐름 상 어쩔 수 없이 이 주제를 가지고 해야한답니다 :) 오늘은 메모리 관리에 대해서 알아볼려고 해요~ 메모리의 동의어는 많아요. 램, 메인 메모리, 주기억장치 뭐 이렇게 부르잖아요~ 근데 보통 메모리라고만 부릅니다! 암튼! 프로그램을 실행하면 해당 프로세스 데이터들이 어떻게 메모리 공간에 할당되는지에 대해서 학습을 하는 것이 오늘의 목표입니다! 만약 여러 프로세스들이 메모리에 상주할 때 CPU가 수행하고 있는 .. 남이 읽는 CS/운영체제 2022. 5. 8. 이전 1 2 다음 반응형